본문 바로가기
시사 및 경제용어

안전자산 금 투자방법 5가지

by @%$#^@ 2022. 7. 14.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현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고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위한 안전자산인 금 투자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의 장단점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 투자

  •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여 현금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 현금 가치가 하락하면 투자자들은 전통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온 금과 같은 실물 자산에 투자하며, 금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인해 금 가격도 상승하게 됩니다.
  • 금은 현금 가치가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을 헤지 하기 위해 투자되곤 합니다.
  • 금은 정치적이나 경제적으로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가치를 저장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됩니다.(안전자산)
  • 금은 주식, 채권, 부동산과 상관관계가 없어 포트폴리오의 전반적인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금 투자 시기

인플레이션 변화율, 달러화의 강세 여부, 미국 금리, 지정학적 리스크, 중국과 인도의 금 수요의 변화를 살펴봐야 합니다.

통상 인플레이션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 달러화 약세 시, 금 수요 증가 시 금 가격이 상승합니다.

 

인플레이션 변화율

  • 보통 인플레이션 변화율과 금 값은 대략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 금의 투자 이유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 구매력이 떨어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금 수요는 인플레이션율이 높을 때 늘어나는 경향이 크다.

 

달러화 약세

  • 달러 인덱스와 금값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음
  • 달러 약세 시 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금과 달러는 대체재 관계가 있음

 

미국의 금리

  • 미국 금리 인상은 미국 국채에 대한 투자 등 달러화 수요가 늘어나 달러화 강세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체재인 금값은 떨어질 확률이 높음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

  • 전쟁과 같은 혼란 상황 발생 시 돈보다는 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안전하다고 느껴 안전자산인 금값이 오르는 경우가 많음

 

중국과 인도의 수요

  • 중국과 인도의 금 수요는 전체 수요의 50%를 넘기고 있음
  • 중국과 인도의 금 수요가 늘수록 금 가격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국제 금 시세 챠트

  • 2007년~2011년: 미국 금융위기와 미국의 양적완화 시기, 중국의 외환보유고 다변화를 위한 금 보유를 늘릴 것이라는 소문이 났던 시기
  • 2013년~: 금값의 하락 -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중지) 시기 및 인도, 중국의 금 수요 감소 시기
  • 최근 : 미중 무역전쟁 및 코로나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 시기

 

금 투자 방법

금 실물 거래 (골드바)

  • 직접 골드바를 구입하는 방식
  • 장점: 국가 재난 사태 발생 시에도 금을 직접 보유할 수 있음.
  • 단점: 금을 직접 보관 및 관리를 해야 하며, 분실의 우려가 있음     
  •         구입 시 부가가치세 (10%)와 매매 시 수수료(5%) 이상이 발생하여 금값이 최소 20% 이상 올라야 수익 가능

 

골드뱅킹

  • 은행에서 금 통장을 만들고 원화를 입금하여 금을 매매하는 방식
  • 금 시세 및 환율을 적용하여 통장에는 금의 무게가 표시
  • 장점: 0.01g 단위로 소액투자 가능, 1% 수준의 낮은 수수료, 도난 및 분실에 대한 위험 없음
  • 단점: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가 원천 징수, '달러 표시 자산'이기에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손 발생 가능

 

금펀드

  • 금광업, 귀금속 관련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에 가입하는 방법
  • 금갑 시 이외 환율과 기업실적 등에 영향을 받아 금 가격과 수익률 간 괴리 발생할 수 있음
  • 장점: 소액투자 가능
  • 단점: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가 원천 징수, 매년 지급해야 하는 연간 보수 있음

 

금 ETN/ETF

  • 증권사 계좌를 통해 주식을 사득 매매할 수 있는 방식
  • 금 투자를 위해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음
  • 장점: 실시간 매매 가능
  • 단점: 국내 상장 ETN(ETF): 배당소득세 15.4%, 해외 상장 ETN(ETF): 22% 양도소득세 부과

 

KRX 금시장

  • 한국 예탁결제원에서 금을 보유하고, 개인은 증권사에서 KRX 금계좌(금 현물 계좌)를 개설하여 주식 매매하는 것처럼 실시간으로 금을 사고팔 수 있는 방식
  • 장점: 1g 단위의 현물 투자, 소액투자 가능, 수수료와 세금이 작음, 부가가치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부과 없음
  • 단점: 실물 인출 시 10%  부가세 부과

 

 

마무리

안전자산인 금을 투자한다면 소액 투자가 가능하며, 각종 세금을 아낄 수 있는 KRX 금 거래소를 이용하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현시점에서의 금 투자를 한다면 과연 시기는 적절할까?

코로나로 인해 유동성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 금리는 빅 스텝, 자이언트 스텝으로 올라가고 있으며 연말까지 추가로 올린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금리 인상에 따라 달러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금 가격도 이미 크게 올랐기에 지금은 금을 투자하기에는 적절한 시기가 아닌 것으로 생각됩니다.

금은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투자상품으로 전체 자산의 5~10%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여러 가지 상황이 변하여 금을 투자하기 적당한 시기가 된다면 적절한 비중으로 투자 자산의 일부로 편입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