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경제지표가 좋지 않으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어떤 걸 말하는지, 영향은 어떻게 되는지,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침체)과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상승)의 합성어
- 고물가와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함
- 인플레이션 지수가 높고, 경제 성장 지수는 낮으며, 실업률이 높은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을 말함
- 경기가 침체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물가가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 정도가 심할 경우 '슬럼프레이션'이라도고 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
- 급격한 유가상승과 같은 공급 쇼크에 직면할 때 발생 : 상품 원가 상승-> 생산성 하락-> 경제성장 둔화 및 상품 가격 상승
- 잘못된 정부의 경제 정책의 결과물로 발생 :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너무 빠른 통화량의 증가와 산업에 피해를 주는 정책을 시행 시 발생
역사상 스태그플레이션 예
- 3세기 (로마제국) : 과도한 군사비 지출로 인한 인플레이션 심화, 디플레이션 겹침-> 스태그플레이션
- 1970년대 (전 세계) : 오일 쇼크로 인한 물가상승, 실업률 상승과 GDP 성장률 감소
- 1997년 외환위기 (한국, 아시아) : 일시적인 물가와 실업률 상승-> 인플레이션
- 2021년 코로나로 인한 대봉쇄 (전세계) : 각국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및 양적완화 (스태그플레이션 의심)
스태그플레이션 시 투자방법
- 특징이 정반대 되는 두 가지 그룹의 주식을 보유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 헷지 하는 방법
- 인플레이션이 기대 이상의 추세가 이어진다면 성장주가 취약한 모습을 나타냄
- 제품 생산에 있어 필요 자재 등과 연관된 기업에 주목(원가 상승에 대한 부담을 가격에 이전시킬 수 있는 기업)
-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자산주"가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음
- 지난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시 주식, 채권 등의 전통적인 금융자산은 손실을 봤지만, 금, 원자재 같은 대체자산은 높은 수익률을 거뒀다.
- 실질 금리와 함께 움직이는 금의 수익률이 높았다.(1차 오일 쇼크 이전 온스당 30달러 -> 1980년 800달러에 육박)
- 원자재에 대한 투자 전략은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유용
- 개인투자자의 경우 현물시장에 참여하기에 접근성이 좋지 않기에 상장지수증권(ETN)을 활용하여 투자
마무리
올해 들어서 각종 뉴스에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음을 내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성장률 및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을 지속적으로 낮추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대응책으로 양적완화를 실시하여 유동성을 급격히 증가시켰으며, 중국의 경제봉쇄와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공급 불확실성이 글로벌 성장에 추가적인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원유를 비롯한 각종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물가상승이 심상치 않은 요즘입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음이 울리고 있으며, 충분한 대비를 하지 않는다면 크나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진행될지 진행이 되지 않을지 모르지만, 무난하게 지나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시사 및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3나노 반도체 GAA 알아보기 (0) | 2022.06.27 |
---|---|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하이퍼튜브란? (0) | 2022.06.21 |
대체거래소 정의 및 특징 (0) | 2022.06.03 |
루나(LUNA) 사태 및 스테이블 코인 (0) | 2022.05.19 |
국내 분기 배당주 종목 알아보기 (0) | 2022.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