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나 주식, 비트코인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루나 사태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 들었을 테고, 저처럼 별생각 없는 사람은 뒤늦게 루나 사태란 단어를 들어봤을 겁니다. 루나 사태는 어떤 걸 말하며, 관련된 내용에는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루나(LUNA)코인
루나는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Terra)의 가격 안정화를 위한 채굴 암호화폐입니다.
테라의 가격이 하락할 때 루나를 추가 발행하여 테라의 유통량을 흡수해 테라의 가격을 올리고자 만들어졌습니다.
테라는 대규모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파트너십을 맺으며 테라 얼라이언스를 통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을 다양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제공할 예정이었습니다. 이러한 테라의 가격 안정화를 위해 태어난 게 루나였습니다.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
스테이블 코인이란 법정화폐로 표시한 코인의 가격이 거의 변동하지 않고 안정된 암호화폐를 말하며, 가치안정화폐라고도 불립니다.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법정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잡거나, 정교한 알고리즘에 의해 공급량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에는 테더(Tether), 제미니달러(Gemini Dollar), 다이(DAI), 테라(Terra), 트루USD(True USD), 앵커토큰(Anchor Token) 등이 있습니다.
테더(Tether)
테더는 테더사가 발행한 코인으로 1테더당 1달러로 고정하여 교환하는 시스템입니다.
기본적으로 테더사 계좌에 1달러를 입금하면 1테더가 발행되고, 1테더를 테더사에 가져다주면 1달러는 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간단한 태환 제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이지만, 발급 주체가 사기업이므로 100% 신뢰하기에는 어렵다는 근본적인 위험이 있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루나 폭락 사건
2022년 5월 8일 테라의 가치 유지 실패로 루나와 테라가 연쇄 폭락하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루나는 코안마켓캡 기준 119달러까지 올랐으나 5월 12일 오후 3시 기준 0.2달러 수준으로 폭락을 했습니다.
원인은 공매도 세력이 비트코인을 빌려와 대량의 테라를 사고, 모아둔 테라를 엄청나게 짧은 시간 내에 매도를 하고, 거래소에서도 공매도를 취함으로 테라 가격을 1달러 밑으로 떨어뜨렸습니다. 아주 짧은 시간에 엄청난 양의 테라로 가격을 일시적으로 하락시켰는데, 시장 참여자들의 공포심리가 작용하여 테라를 보유한 사람의 매도가 쏠리면서 폭락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공매도에 의한 폭락은 실제 역사를 통해서도 자주 목격됩니다. 실제 조지소로스가 태국 바트화를 공격하여 1997년 IMF사태를 일으키기도 했었습니다.
마무리
암호화폐의 근간인 블록체인은 분명히 좋은 기술이며 뛰어난 기술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하지만 암호화폐는 과연 어떤 이익 창출의 방법이 있는지 고민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혹자는 암호화폐를 폰지사기라고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암호화폐는 정부가 발행하지 않아 안정성이 없으며, 어떤 가치도 창출하지 못하기에 투자 상품으로 그다지 좋게 보지는 않습니다. 대다수의 코인 투자자들이 투자보다는 '나만 아니면 돼~'라는 생각으로 코인에 투자를 하는 게 아닌가 합니다. 물론 이런 건 주식의 테마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보다 높게 사줄 바보만 있으면 돼~라는 말도 있긴 합니다.
투자를 하다 보면 기본이 중요하다는 걸 생각하는 시기가 옵니다.
주식투자를 약간 오래 하다 보면 수익보다는 손실이 얼마나 나지 않도록 관리하는가가 중요하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것은 결국 기본을 중요시하게 되고, 기본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큰 수익은 아니더라도 큰 손해는 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조금은 지났지만, 루나 사태로 큰 피해 입은 분이 없기를 바래봅니다.
'시사 및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 및 투자방법 (0) | 2022.06.15 |
---|---|
대체거래소 정의 및 특징 (0) | 2022.06.03 |
국내 분기 배당주 종목 알아보기 (0) | 2022.05.18 |
종합소득세 G유형(간편 장부, 단순경비율) 홈텍스 셀프 신고방법 (0) | 2022.05.11 |
GOS(Game Optimizing Service) 알아보기 (0) | 2022.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