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및 경제용어

대체거래소 정의 및 특징

by @%$#^@ 2022. 6. 3.

최근 대체거래소 설립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뉴스를 접했는데, 대체거래소란 무엇을 말하는지, 대체거래소가 설립되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체거래소(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 한국거래소가 독점적으로 수행하던 매매체결 기능을 대체하는 거래소를 말한다.
  • 상장심사나 시장 감시 기능이 없고 주식 매매 기능만 가능
  •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등장
  • 빠르면 2024년 상반기 ATS 출범 예정

대체 거래소 관련 뉴스
대체 거래소 관련 뉴스

대체거래소 개설에 따른 특징

  • KTX(한국거래소)와 ATS(대체거래소) 양 시장의 호가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음
  • ATS가 기존 거래소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호가 유형, 주문 유형, 시장 제도 등 다양한 서비스 출시 예상
  • 기존 서비스의 업그레이드 전망
  • 유동성이 늘어나고 호가 분포가 촘촘해지면서 호가갭이 줄어들 전망
  • 주문방식의 다양화로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환경 개선 예상
  • 정규 거래 시간보다 확대된 거래 시간 설정은 국내 ATS의 주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상

 

대체거래소 안착을 위한 필요사항

  • 거래대상의 다양화 (비상장주식, 채권, 상장지수펀드(ETF))
  • 자기 자본 요건, 주식소유 제한 등 제도적 보완 필요
  • 기관투자자들의 ATS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5% 규정에 따른 의무 공개매수 적용에 있어 경쟁매매 방식의 ATS 거래를 예외로 인정할 필요가 있음

 

 

 

마무리

대체거래소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특징, 대체거래소 안착을 위한 필요사항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체거래소 설립에 관해 이야기된 게 2013년 '자본시장법 개정'에 근거를 마련하였으나 꽤 오랜 시간 동안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코로나로 인한 증시 거래대금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시금 급물살을 타게 되었습니다.

이미 미국, 유럽 등에서는 2000년대 초반에 시행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시행되면 개인 투자자에게 유리한 면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대체거래소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