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6 NFT에 대해 (NFT의 뜻과 NFT 원리) 가상자산 시장에서 2021년 가장 대두됐던 게 NFT였습니다. 일시적인 대중에 관심을 끌었다기보다는 2022년에도 꾸준히 시장에 나올만한 단어라 생각되어 이번에 NFT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NFT란?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준말로 우리나라말로 하면 '대체 불가 토큰'이라고 불립니다. 여기에서 토큰이란 어떤 특정한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권리입니다. 예를 들면 예전에 버스를 탈 때 사용했던 버스 토근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되는 개념입니다. 일반 동전처럼 시중에 아무 제약 없이 통용되는 게 아니고, 특정한 목적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만 사용 가능하는 개념입니다. NFT는 토큰마다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여 상호 교환이 불가능.. 2022. 1. 4. 부가가치세-간이사업자 신고 절차(무실적신고) 1월 1일부터 25일까지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기간입니다. 제가 사업자를 내고 실적이 없다 보니 무실적 신고를 하게 되어 부득이 간이사업자 무실적 신고 기준으로 부가가치세 신고 절차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무실적 신고인 경우라 크게 도움은 안될듯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일반과세자 정기신고 납부기간: 1.1~1.25 (2기 확정) 간이과세자 정기신고 납부기간: 1.1~1.25 일반과세자는 1년에 2번 확정 신고 (1기 확정: 7.1~7.25)하며, 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 번 신고하게 됩니다. 간이사업자 부가가치세 정기신고 절차 1.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 2. 상단 [신고/납부] 선택 3. 세금신고>[부가가치세] 클릭 4. 2021년 2기 확정 부가가치세 전자신고 안내사항 팝업창 참고하시면 됩니.. 2022. 1. 3.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및 지원내용 중소기업 인력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2022년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신청 접수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란 무엇인지, 지원대상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한 간략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란? 만 15세~34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의 중소기업 유입을 촉진하고,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 정책으로 5인 이상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2년간 본인이 300만 원을 적립하면 기업이 300만 원, 정부가 600만 원을 공동으로 적립하여 2년 만기 시 1,2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해주는 정책이다. 지원대상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 제한 연령 연.. 2022. 1. 3. 2022년 횡단보도 관련 도로교통법 개정 2022년 1월부터 보행자 보호의무가 강화되면서 일반적으로 무시되었던 횡단보도 우회전시 개정된 도로교통법이 적용되었습니다. 원래 지켜야 하는 법인데, 바쁘다는 핑계로 약간 무시했던 것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숙지하시어 과태료 및 자동차 보험료가 할증되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횡단보도 우회전하는 방법 우회전 직전에 만난 횡단보도 : 차량 신호등이 빨간불일 경우 차량은 일단 멈춤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이 녹색불이고 보행자가 있는 경우 : 차량은 정지선 또는 횡단보도를 넘어가면 안 됨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이 녹색불이나 보행자가 없는 경우 :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통과(경찰 단속하지 않음) 우회전 후 횡단보도 통과 시 차량은 무조건 일시 정지하여 보행자 유무 확인, 횡단보도 통과 시 .. 2021. 12. 3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