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및 경제용어

공모주의 뜻과 증권시장 상장요건

by @%$#^@ 2022. 1. 24.

최근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청약에 증거금이 114조를 넘겼습니다. 공모주 청약에서 나오는 '공모주'란 무엇인지? 공모를 통하여 증권시장에 상장하는데, 상장하는 증권시장에는 어떤 게 있고, 상장요건에 대해서 이번 포스팅으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모주란?

비상장기업이 코스닥이나 코스피에 상장하는 것을 공모라고 하며, 공모 회사가 투자할 사람을 구하여 발행하는 주식을 공모주라고 합니다.

공모주 청약이란 기업이 공개를 통해 증권시장에 상장하면서 일반인에게 청약을 받아 주식을 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무 기업이나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게 아니며 일정한 요건을 가져야 하는데 상장하기 위한 요건에는 어떤 게 있는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장요건

우리나라 증권시장에는 크게 코스피와 코스닥이 있습니다. 물론 초기 중소, 벤처기업의 성장지원과 모험자본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개설된 초기 중소기업 전용 신시장인 코넥스(KONEX: Korea New Exchange)가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외합니다.

 

코스피(KOSPI: Korea Compsite Stock Price Index)는 한국 종합주가지수라 하며 증권시장에 상장된 상장 기업의 주식변동을 기준시점과 비교 시점을 비교하여 작성한 지표를 말합니다. 

사업의 안전성과 건전성이 검증된 일정 규모 이상의 우량 기업들이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추가 자금조달 목적으로 개설된 시장입니다.

 

코스닥(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은 미국의 나스닥을 참고하여 만들어진 시장으로 Bio, IT, Culture Tech 기업들과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위한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개설된 시장입니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인해 두 시장의 상장요건은 상당 부분 다릅니다. 

 

코스피의 상장요건으로 규모요건, 분산요건, 경영성과 요건, 안정성 및 건전성 요건이 있으며 내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코스피 상장요건-규모, 분산요건 표
코스피 상장요건-경영성과요건, 안정성 및 건전성 요건

위와 같이 코스피의 상장요건은 자기 자본 300억 원 이상, 매출액 3년 평균 700억 원 이상 등 쉽게 충족할 수 없는 조건들입니다. 그동안 주식하면서 주가 떨어지면 '거지 같은 회사'라고 했던 수많은 기업들이 새삼 대단해 보입니다.

 

코스닥의 상장요건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코스닥 상장요건

코스닥이 코스피 상장요건에 비해 굉장히 기준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 상장 요건 중 '기술성장기업 특례 상장'하는 경우에는 회사의 미래성을 보고 몇 년간 적자인 상태에서도 상장이 가능합니다.

사실 코스닥 상장요건이 코스피 상장요건보다 기준이 많이 낮다는 것이지 코스닥에 상장할 수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굉장히 대단한 기업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간단하게 코넥스 시장을 살펴보면 위와 같이 코스닥시장도 투자자 보호를 위한 계속적인 상장요건 강화로 인해 초기 중소기업들의 진입이 곤란한 시장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 중소기업에 최적화된 증권시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초기 중소기업 특성을 반영하여 기존 증권시장을 활용하여 제로베이스에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다고 판단하여 코넥스 시장을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마무리

간략하게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한 공모주에 대해서 뜻을 알아보았고,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한 요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그동안 수없이 주가 떨어진다고 '쓰레기'라 말했던 기업들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지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번에 상장요건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다음에는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한 IPO 절차 및 공모가 산정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