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인력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2022년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신청 접수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란 무엇인지, 지원대상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한 간략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란?
만 15세~34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의 중소기업 유입을 촉진하고,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 정책으로 5인 이상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2년간 본인이 300만 원을 적립하면 기업이 300만 원, 정부가 600만 원을 공동으로 적립하여 2년 만기 시 1,2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해주는 정책이다.
지원대상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 제한 연령 연동, 단 만 39세로 한정)
-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소비향락업 등 일부 업종은 제외)
- 벤처기업, 청년 창업기업 등은 5인 미만 기업도 참여 가능
지원내용
- 청년: 본인이 매월 125,000원 (2년간 300만 원) 적립 시 정부와 기업이 공동 적립하여 2년 후 만기 공제금 1,200만 원+이자 수령
→ 최소 2년 이상 동일 사업장 근무로 실질적 경력 형성의 기회
→ 본인 납입금 대비 4배 이상 수령
→ 만기 후 중소벤처기업부 내일 채움 공제로 재가입/연장 가입으로 장기적 목돈 마련 가능
- 기업: 사업자 규모에 따라 채용유지 지원금 지원(장기근속 지원을 위해 '기업 기여금'으로 적립)
→ 전년도 평균 고용보험 피보 함자수 기준
→ 중소기업 일자리 평가 도입 사업(정책자금, R&D, 수출 등) 참여 시 우대
→ 잦은 이직으로 인한 우수인력에 대한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
납입체계(2년형 청년 내일 채움 공제)
- 정부지원금: 근로자 명의 가상계좌로 기간별 적립 (2년간 총 600만 원)
1M | 6M | 12M | 18M | 24M |
80만 원 | 120만 원 | 120만 원 | 140만 원 | 140만 원 |
- 기업 기여금: 기업명의 가장계좌(기업 지원금, 6개월), 자동이체(기업부담금, 매월)로 적립
기업 규모 | 기업부담금(매월 125,000원) | 기업지원금(6개월 단위 적립) | 총 합계 |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
~29인 | 0% | 0원 | 100% | 750,000 | 3,000,000원 |
30~49인 | 20% | 12,000원 | 80% | 600,000원 | |
50~199인 | 50% | 62,500원 | 50% | 375,000원 | |
200인~ | 100% | 125,000원 | 0% | 0원 |
- 청년근로자 : 매달 자부담 125,000원 납입
- 전체적인 적립 구조
신청방법 및 기타 내용
- 참여 신청 : 온라인 신청(https://www.work.go.kr/youngtomorrow/)
- 가입 신청: 온라인 신청(https://www.sbcplan.or.kr/ )
- 직장 내 괴롭힘이나 성희롱 등의 사유도 중도 해지 시 적립금액 전부 지급
- 기업의 귀책사유로 인해 청년이 퇴직 시 2022년에는 1년 이내 재취업해야 청년 공제를 계속 참여 가능
마무리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정책으로 중소기업 육성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이런 정책들이 얼마나 좋은 인재들을 중소기업에 붙잡을 수 있을지는 꽤나 회의적이긴 합니다. 그래도 이런 정책들로 인해 중소기업에 다니시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1월 3일부터 신청 접수가 시작된 [청년 내일 채움 공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귀속 연말정산 일정 및 간소화 자료 일괄 자료 제공 서비스 (1) | 2022.01.06 |
---|---|
부가가치세-간이사업자 신고 절차(무실적신고) (0) | 2022.01.03 |
2022년 횡단보도 관련 도로교통법 개정 (0) | 2021.12.31 |
중소기업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산업단지 내) (0) | 2021.12.30 |
2022년 달라지는 부동산제도 (0) | 2021.12.24 |
댓글